-
-
-
EBS 비즈니스 리뷰 모멘트
1969 타협하지 않는 명품 시계 브랜드-
롤렉스는 스위스 시계의 선구자이자 사람들에게 명실상부 대표 명품 시계 브랜드로 각인되어있다. 쿼츠파동으로 많은 스위스 시계 기업들이 도산될 때, 명품 브랜드로 더 굳은 입지를 다지고. 매년 가격이 상승함에도 사람들이 열광하는 비결은 무엇인지. 변화에 타협하지 않는 롤렉스에 대해 알아본다.
-
중국, 후발주자의 역설
그 슈퍼마켓 주변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윤재웅 중국경제센터장
알리바바의 대표적인 신선식품 업체, ‘허마셴셩’, 이들의 목표는 냉장고를 없애는 것이다.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가격표를 스캔하면 제품의 원산지부터 유통 과정, 각종 검사 결과까지 알 수 있고, 당일 판매 가능한 물량을 예측해 원산지에서 신선식품을 직배송하기까지! 소비자의 편리함을 극대화한 신선식품 전문매장인 허마셴셩, 이 매장이 들어서는 곳에는 주변 집값에 프리미엄이 붙는다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2016년 마윈 알리바바 전 회장은 ‘신유통’이란 개념을 제시하며 알리바바의 신유통 전략을 ‘허마셴셩’을 통해 입증해나가고 있다. 유통시장의 새로운 혁신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허마셴셩’에 대해 알아본다.
-
스포츠 세계에서 찾은 비즈니스 전략
조던, 농구 황제의 브랜드 가치- 강우준 변호사
지난 5월 소더비 경매에 나온 운동화 한 켤레가 56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6억 9천만 원이라는 놀라운 가격에 낙찰됐다. 이 놀라운 가격을 기록한 운동화의 주인은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었고, 운동화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딴 ‘에어조던 1’이었다. 1985년 출시된 운동화지만 여전히 경이로울 정도의 가치를 자랑하는 조던 시리즈 운동화, 여기에는 마이클 조던이라는 시대의 아이콘의 가치가 제품에 투영되고 이를 적극 활용한 나이키의 전략이 맞아떨어졌기에 가능하다는 평이다. 세기의 농구 스타와 스포츠 브랜드의 만남이 스포츠 비즈니스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비즈니스 리뷰를 통해 들여다본다.
-
브랜드, 변해야 할 것과 변하지 말아야 할 것들
3편.한국인의 정, 네버 엔딩 스토리- 박재항 대표
초코파이 하면 다음으로 떠오르는 단어를 말한다면 모두가 ‘정(精)’을 외칠 것이다. 초코파이가 처음 출시되었던 1974년, 가격은 50원. 저렴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당시 버스비는 25원이었다. 손님에게나 대접할 수 있는 고급 간식이었던 초코파이는 어떻게 학생과 군인이 즐겨 찾는 제품이 되었을까? 무조건 먹어보라고 외치던 광고에서 먹어야 할 이유를 주는 광고로 바뀐 것은 1986년이었다.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라는 멜로디와 함께 정에 굶주린 친구끼리 군인들끼리 나눠 먹는 장면은 초코파이를 국민 과자로 각인시켰다. 외국으로 진출한 초코파이는 운영 방식도 남달랐다. 광고에서 말한 ‘정(精)’이 조직 내부에서도 그대로 실행된 것이다. 요즘 같은 투명성의 시대에 광고와 기업 철학이 일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본다.
-
전략은 어떻게 실행하는가
3강.뜬구름 잡지 않는 전략 수립 방법 - 김언수 교수, 김봉선 박사
‘전략은 추상적이고. 실체가 없다?’ 전략에 대해 흔히들 하는 오해다. 하지만 전략이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있으며, 어떤 경로를 통해 성과로 연결되는지 안다면, 전략은 결코 뜬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다. 이윤을 내는 비용과 가격 공식, 그리고 수요와 공급 측면을 모두 고려해보며 어떻게 전략이 구체화되는지 알아본다. 전략의 실체에 좀 더 다가가 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
전략은 어떻게 실행하는가
1강.쓸모 있는 전략이란- 김언수 교수, 김봉선 박사
미국 Top 5 안에 드는 증권회사인 에드워드 존스(Edward Jones). 수입과 재산을 기준으로 고객층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증권회사와는 차별화된 고객 전략이 있다는데...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는 투자자 유형과 기업 고객은 과감히 포기하고, 에드워드 존스가 공략한 고객 유형은? 희소한 자원 속에 우선순위를 정해 선택과 집중을 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전략이다! 구체적인 기업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쓸모 있는 전략이란 무엇인가‘
-
전략경영이란 무엇인가
5강.어떻게 이길 것인가?: 경쟁전략- 김언수 교수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흔히 들어봤을 공식. ‘가격(Price) - 비용(Cost) = 이윤(Profit)’. 이 공식에 따르면 사업의 이윤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높은 가격이지만 고품질을 제공하는 차별화우위, 또는 품질은 뛰어나지 않더라도 비용을 낮추는 비용우위. 전 세계에서 찾는다는 인도의 한 안과병원과 말안장 제작 회사에서 출발한 명품 브랜드의 사례를 통해 그것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알아본다.
-
전략경영이란 무엇인가
3강.나의 무기는 무엇인가?: 경쟁우위- 김언수 교수
어떻게 이길 것인가! 이제 본격적으로 승리를 거머쥐게 할 무기를 알아볼 차례. 한정된 자원과 치열한 경쟁 속에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그 답은 바로 가치사슬(Value Chain)이라는 개념에 있다. 비즈니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가치사슬 활동. 그것을 어떻게 배열하느냐에 따라 경쟁력은 달라진다. 나를 알고 적을 알면 백전백승! 당신의 경쟁우위를 찾아보자.
- EBR매주 월 - 목 23:35~23:50
- EBR+월 - 금 12:10~12:25